(우왕의 대마도정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한반도에서 펼쳐진 철기시대의 발자취

철기시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그 동안의 문화와 생활 습관, 경제적 변화를 야기한 이 시대를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철기 시대의 서막
한반도에서 철기 시대는 약 기원전 4세기로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청동기 시대의 물질 문화와 철기 시대의 것이 혼재하는 유적이 많이 발견된다.
의창의 다호리 유적에서는 이러한 혼재 문화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글씨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붓이 발견되어 그 시대의 고유한 문화를 엿볼 수 있다.
한국 동검의 변화
철기의 출현과 함께 동(청동)은 주로 신앙과 예술적인 용도로 활용되게 된다.
한국의 철기 시대 동검은 중국의 것과는 차별화된 개성을 띄고 있다.
충남 예산과 충북 청주에서 발견된 세형 동검은 그 예로 들 수 있다.
촌락의 발전과 변화
철기 시대의 한반도 사회에서 촌락은 강가나 시내 주변에 형성되곤 했다.
철기의 발전과 농업의 효율성 증대로 인해 촌락의 모습도 크게 바뀌게 된다.
공동 작업장이나 의식 행하는 장소의 유물들을 통해 사람들이 더 밀집해 생활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사회 구조의 변화
철기 시대에 들어, 한반도의 사회는 평등 사회에서 계급 사회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 중 하나로, 농업의 발전과 잉여 농산물의 축적, 그리고 철제 무기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고조선이라는 강력한 권력체가 탄생하게 된다.